교재소개
- Home
- 노란책
- 교재소개
<책의 특장점>
• 단원별 필수개념 · 필수암기 · 확인문제를 통한 철저한 학습
• 2017 수능 필수 한국사에 맞는 기출문제 209문항 선별 수록
• 2주만에 끝낼 수 있는 Day별 학습 구성
• 기출문제 전 문항 자세한 첨삭해설 수록
• 다양한 사진 · 지도 · 그래픽 자료 수록! 올컬러 인쇄!
★2017 수능 필수 한국사 시험의 출제 경향을 반영한 최신 교재!
★새로이 바뀐 대학별 한국사 반영 방법에 따라 ‘3등급’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
★모든 문항 모든 선지의 정 · 오답 풀이 및 첨삭해설 수록
<목차>
Ⅰ.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의 발전
1. 선사 문화
• 구석기 시대
• 신석기 시대
• 청동기 시대
• 철기 시대
2. 고조선의 성립과 여러 나라의 성장
• 고조선의 건국과 발전
• 고조선의 법률과 사회 모습
• 부여
• 고구려
• 옥저와 동예
• 삼한
3. 삼국의 성립과 체제 정비
• 고구려의 성립과 체제 정비
• 백제의 성립과 체제 정비
• 신라의 성립과 체제 정비
• 가야의 발전과 쇠망
• 신라의 골품제
• 삼국의 사회 모습
4. 삼국의 발전과 항쟁
• 백제의 위기와 부흥
• 고구려의 발전
• 신라의 발전
• 7세기 고구려와 수 · 당의 전쟁
• 신라의 삼국 통일
5.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
• 무열왕계의 왕위 계승과 왕권 강화
• 통일 신라의 통치 조직 정비
• 신라 말의 정치 변동과 사회 혼란
• 호족 세력의 성장과 후삼국의 형성
• 발해의 건국과 발전
• 발해의 통치 체제
6. 고대 국가의 대외 교류와 문화 발전
• 고대의 대외 교류
• 불교 문화의 발전
• 유교 문화의 발전
• 기타 신앙과 과학 기술의 발전
Ⅱ.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
1. 고려의 건국과 정치 변동
• 고려의 건국과 민족의 재통일
• 고려의 통치 체제 정비
• 문벌 귀족 사회의 성립과 동요
• 외세와의 대립
• 무신 정권의 성립과 흐름
• 무신 집권기 사회의 동요
• 몽골의 침입과 내정 간접
• 권문세족의 횡포와 공민왕의 정치
• 고려의 멸망
2. 고려의 경제 정책 및 활동
• 토지 제도의 운영
• 수취 제도의 운영
• 고려 전기의 산업
• 과전법의 시행
• 고려 후기의 경제 활동
3. 고려의 신분 제도와 사회 모습
• 개방적 신분 질서
• 귀족과 중류층
• 양인과 천인
• 고려의 가족 제도
4. 고려의 문화와 대외 교류
• 유학
• 불교
• 예언 사상과 토착 신앙
• 과학 기술의 발달
• 고려 전기의 무역
• 고려 후기의 교류
Ⅲ.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
1. 조선의 건국과 유교적 통치 체제의 정비
• 조선의 건국과 발전
• 통치 체제의 정비
• 사림의 성장과 사화
• 붕당의 형성
• 서원과 향약
• 토지 제도의 변화
2. 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
• 명과의 관계
• 여진과의 관계
• 일본과의 관계
3. 조선의 신분제와 양반 문화
• 조선의 신분제
• 양반과 중인
• 상민과 천민
• 조선 전기의 상업
• 조선 전기의 농업
• 성리학의 발달
• 과학 기술의 발달
• 민족 문화의 발달
4. 양난의 극복과 대내외적 영향
• 왜란의 발발과 영향
• 광해군의 중립 외교와 인조반정
• 호란의 발발과 영향
• 양난 이후의 제도적 변화
5. 조선 후기의 정치 변동
• 붕당 정치의 전개
• 붕당 정치의 변질과 탕평론의 대두
• 영조 대의 정치
• 정조 대의 정치
• 탕평 정치의 의의와 한계
• 세도 정치의 전개와 폐해
6. 조선 후기 조세 제도의 변화
• 영정법의 실시
• 대동법의 실시
• 균역법의 실시
7. 조선 후기의 사회 · 경제적 변동
• 상업의 발달과 화폐 유통
• 농업의 발달
• 수공업과 광업의 발달
• 신분제의 동요
• 중간 계층의 신분 상승
• 상민 · 노비 층의 신분 상승
• 향촌 질서의 변화
• 가족 제도의 변화
8. 조선 후기 사회 개혁론의 대두
• 성리학의 절대화
• 실학의 등장
• 중농학파와 중상학파
• 국학과 과학 기술의 발달
9. 조선 후기 문화의 새 경향
• 새로운 사상의 등장
• 서민 문화의 발달
• 문학과 예술의 발달
Ⅳ. 국제 질서의 변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
1. 서구 열강의 접근과 조선의 대응
• 흥선 대원군의 왕권 강화 정책
• 병인박해와 병인양요
• 제너럴 셔먼호 사건과 신미양요
2. 문호 개방과 개화 정책의 추진
• 운요호 사건과 강화도 조약
• 각국과의 불평등 조약 체결
• 개화파의 형성과 분화
• 위정척사 운동의 전개
3. 근대적 개혁의 추진 과정
• 정부의 개화 정책 추진
• 임오군란의 발발
• 갑신정변의 발발
• 갑신정변 이후 조선을 둘러싼 열강의 대립
4. 근대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
• 동학의 확산과 교조 신원 운동
• 동학 농민 운동의 전개
• 제1차 갑오개혁
• 제2차 갑오개혁
• 을미개혁(제3차 갑오개혁)
5. 독립 협회와 대한 제국
• 독립 협회의 활동
• 독립 협회의 해산
• 대한 제국의 수립
• 광무개혁의 시행
6. 국권 수호 운동의 전개
• 을미의병의 전개
• 을사의병의 전개
• 정미의병의 전개
• 애국 계몽 운동의 전개
• 신민회의 조직과 활동
• 교육 활동과 국채 보상 운동
7. 개항 이후의 사회 · 경제적 변화
• 열강의 이권 침탈 배경
• 일본의 이권 침탈과 청 · 일 상인의 경쟁
• 방곡령의 시행
• 언론의 발달과 탄압
8. 독도
• 독도의 역사적 연원
• 일본의 독도 강제 편입
Ⅴ. 일제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
1. 국제 정세의 변동과 국권 피탈
• 러 · 일전쟁의 발발
• 일제의 침략과 국권 피탈 과정
• 을사조약에 대한 반발
2. 일제의 식민 통치와 경제 침탈
• 1910년대 무단 통치의 실시
• 1910년대 토지 조사 사업과 식민지 경제
• 1920년대 문화 통치의 실시
• 1920년대의 경제 침탈
• 민족 말살 통치의 실시
• 일제의 식민지 공업화
3. 3 · 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
• 3 · 1 운동의 발발과 흐름
• 3 · 1 운동의 의의와 영향
• 임시 정부의 수립과 통합
•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활동
• 국민 대표 회의와 임시 정부의 변화
4. 국내 민족 운동의 전개
• 1910년대 국내 비밀 결사 운동
• 국내 무장 투쟁의 전개
• 물산 장려 운동의 전개
• 민립 대학 설립 운동의 전개
• 농촌 계몽 운동의 전개
• 민족 유일당 운동의 전개
• 신간회의 활동과 해소
5. 국외 민족 운동의 전개
• 만주 지역의 독립 운동 기지
• 연해주 지역의 독립 운동 기지
•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투
• 독립군의 시련
• 독립군의 재정비
• 의열 투쟁의 전개
• 만주에서의 한 · 중 연합 작전
• 중국 관내에서의 한 · 중 연합 작전
6. 다양한 사회 운동의 전개
• 우리말 살리기 운동
• 한국사 연구
• 사회주의의 확산과 학생 운동의 전개
• 노동 · 농민 운동의 전개
• 형평 운동의 전개
• 교육 · 언론 · 문화 활동
7. 임시 정부의 재정비와 건국을 위한 노력
• 임시 정부의 체제 정비
• 한국 광복군의 창설과 활동
• 미 · 소 군정의 실시
• 건국 준비 활동
Ⅵ. 대한민국의 발전과 현대 세계의 변화
1.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
•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와 반응
• 미 · 소 공동 위원회의 결렬과 좌우 합작 운동
• 한국 문제의 UN 상정
• 통일 정부 수립 운동
• 제주 4 · 3 사건과 여수 · 순천 10 · 19 사건
• 5 · 10 총선거의 실시와 제헌 국회의 수립
• 반민족 행위 처벌
• 농지 개혁의 실시
2. 6 · 25 전쟁과 전후 상황
• 6 · 25 전쟁의 배경
• 6 · 25 전쟁의 전개 과정
• 휴전 협정과 전쟁의 영향
• 전후 복구와 원조 경제
3.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
• 이승만 정부의 장기 집권
• 4 · 19 혁명의 발발
• 장면 내각의 수립
• 박정희 정부의 수립
• 대외 관계의 개편
• 3선 개헌의 실시
• 유신 체제의 수립
• 유신 체제에 대한 저항과 체제 붕괴
• 신군부 세력의 등장과 서울의 봄
• 5 · 18 민주화 운동의 전개
• 전두환 정부의 독재 체제 구축
• 6월 민주 항쟁의 전개
• 직선제 개헌 이후 정부의 활동
4. 경제 발전과 사회 · 문화의 변화
• 제1 · 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의 실시
• 제3 · 4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의 실시
• 석유 파동과 경제 위기
• 석유 파동의 극복과 3저 호황
• 시장 개방과 외환 위기
• 외환 위기 극복과 자유 무역
• 도시화와 농춘 문제의 발생
• 노동 운동의 전개
5. 북한의 변화와 통일을 위한 노력
• 북한 정부 수립과 토지 개혁
• 북한식 사회주의와 독재 체제 구축
• 북한 경제의 변화
• 전두환 정부까지의 대북 정책
• 노태우 정부의 대북 정책
• 민주화 이후의 대북 정책